시추의 유래와 성격, 관리
시추는 중국어로 사자라는 뜻을 가지고 있다.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시추의 고향은 중국으로 중국의 티베트에서 데려온 라사압소와 페키니즈를 교배시켜 탄생하였다. 중국 황실에서 키워지던 페키니즈를 사자같이 위엄있게 만들기 위해 교배시켜 만들어진 견종이다. 평균 체고는 22~27cm 정도이며, 체중은 4~7kg 정도인 소형견이다. 최근에는 작은 크기의 개들이 인기를 끌면서 더 작게 개량된 크기의 시추도 늘고 있다. 눈이 크고 코가 눌려있는 외모를 가진 이 견종은 기준이 되는 털 색깔이 없는 것이 특징이다. 자주 볼 수 있는 색깔로는 갈색과 흰색 조합이 있다. 털이 긴 장모종으로 주기적으로 미용해주는 것이 필요한 견종이다. 다른 견종에 비해 털이 많이 빠지지 않지만 털 관리를 해주지 않게 되면 털이 엉키게 되고 죽은 털들이 안에 남아있게 되어서 피부병을 유발할 수 있다. 관리가 어려우면 몸 부분만 짧게 잘라주는 미용을 해주기도 한다. 시추는 모든 견종 중에서 가장 온순하다고 할 수 있을 정도로 순한 견종이다. 잘 짖지도 않고, 공격성도 작다고 알려져 있다. 독립적인 성향도 강해 분리불안 증상이 잘 일어나지 않고, 평소에도 얌전해서 집 안에서 키우는 반려견으로 인기가 많다. 평소에 스트레스를 잘 받지 않지만, 혹여나 스트레스를 받게 되면 안정을 찾는 데 오래 걸릴 수 있다. 차분하고 조용하며 게으른 성격을 가지고 있는데 지능도 낮은 편에 속해서 교육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다. 하지만 교감 능력이 뛰어나 보호자가 충분히 노력한다면 충분히 영리한 반려견으로 키울 수 있다. 시츄는 눈이 크고 돌출되어 있어서 외부 자극이나 이물질로부터 쉽게 상처를 입는다. 또, 머리가 작은 단두종인 견종은 다른 견종에 비해 눈의 감각이 더딘 편이라 더 세심한 관리가 필요하다. 눈 세정제나 인공눈물 등을 자주 넣어줘서 이물질 등을 제거해 줘야 한다. 또한 느긋한 성격을 가지고 있어 활동량이 많지 않은 이 견종은 올바른 식습관을 형성해 주지 않으면 금방 살이 찌거나 비만이 될 수 있다. 식탐도 많아서 보호자의 식사량 조절이 꼭 필요하다. 한 번에 많이 먹이지 않고 낮은 열량의 간식과 사료를 조금씩 자주 먹이는 것이 현명하다. 많은 식탐 때문에 급하게 먹는 습관이 길러질 수 있으니 어릴 때 식사 조절하는 교육을 해줘야 한다. 시추는 느긋하고 게으른 성격이다 보니 배변 훈련을 시키는 게 어렵기 때문에 많은 시간과 노력을 들여야 한다. 그리고, 고집이 세 자신이 싫어하는 신체 부위를 만지거나 미용, 목욕 등을 할 때 고집을 부리거나 할 수 있으니 어릴 때부터 신체 부위를 만져주고 익숙해지게 해주는 것도 중요하다. 평소 스트레스를 잘 받지 않지만, 자신이 사는 공간이 변하거나 했을 때 적응 하지 못하고 극심한 스트레스를 받을 수 있으니 생후 6개월 이전에 다양한 사람, 소리, 환경 등을 경험시켜 주면서 사회성을 길러주고, 혼자 있는 연습도 시켜주며 독립성도 길러주는 것이 좋다. 운동량은 크게 많은 편이 아닌 견종이지만 건강과 스트레스 해소를 위해서는 산책은 꾸준히 시켜주는 게 좋고, 집 안에서도 먹이 등을 곳곳에 놔두는 등의 행동으로 운동을 시켜주는 것이 좋다.
시추의 수명과 질병
시추의 평균 수명으로는 14~15년 정도이며 좋은 유전자를 가지고 건강한 환경, 올바른 식습관, 꾸준한 운동 등을 하며 스트레스 관리를 잘 해준다면 더 오래 살 수 있다. 단두종들은 평균적으로 더위에 약하기 때문에 실내에서 키울 경우에는 실내 온도를 낮춰 시원하게 해주는 것이 좋다. 큰 눈을 가진 만큼 눈물이 자주 나와서 눈물 자국 관리도 자주 해줘야 하고, 백내장, 녹내장, 안구건조증, 각막 궤양 등의 안구 질환에 취약하기 때문에 주기적인 관리와 검진이 필요하다. 또, 코와 입이 짧은 단두종 에게 쉽게 나타나는 질병인 단두종 호흡기 폐쇄 증후군이 있는데 호흡을 힘들어하거나, 호흡 중 소음, 구토, 경련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간단한 운동으로도 극심한 피로를 느끼고, 식도 역류 등 기관지뿐만 아니라 위, 심장에도 부담을 주는 만큼 증상이 나타난다면 즉시 검진받아 봐야 한다. 또한, 고관절 이형성증이 발병하게 되면 걸음걸이가 어색해지며 절뚝거릴 수 있다. 조기 진단할수록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고, 이 질환이 지속되면 평생 장애를 갖고 살아야 할 수 있으니 자주 건강 검진받아 보는 것이 좋다. 눈썹이 안쪽으로 자라나 눈동자를 찌르게 되는 안검내반증도 조심해야 하는데 눈물이 많아지고 그로 인해 눈곱이 너무 많이 낀다면 검진받아 보는 것이 좋다. 또, 기관 허탈이라는 질환은 주로 나이를 많이 먹은 단두종이나 소형견에게서 주로 발생 되는데, 기관이 납작해져 협소해지는 질환이다. 입에 거품을 물거나 구토, 기침 등을 하고, 침이 많아지며 발작 또는 경련을 일으키기도 한다. 체중이 많을 시에 더 잘 걸리는 질병인 만큼 체중 관리가 중요하다. 그리고 시추는 옥살산칼슘, 인산염 등의 많은 종류의 방광 결석도 가지고 있다. 이 견종은 귀가 접혀 있어 귀를 열어 청소해주지 않으면 귓속 질병에 걸릴 수 있으니 주의해야 한다. 허리도 안 좋은 편이라 관절을 많이 사용하지 않게 주의 시켜 주고, 미끄럼 방지 매트나 반려견용 계단을 설치하여 관절에 무리가 안 가게 해주는 것도 좋다. 시추는 자신이 아파도 티를 내지 않기 때문에 보호자가 관심과 사랑으로 관찰하며 꾸준히 병원에 데려가 검진을 받아주고, 일정량의 운동과 산책을 시켜주며 스트레스를 해소 시켜줘야 한다.
'취미 주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비글의 유래와 성격, 특징, 수명 (0) | 2023.02.23 |
---|---|
시바견의 성격, 시바 이누의 수명과 질병 (0) | 2023.02.13 |
웰시 코기의 이름의 유래, 특징과 수명, 질병, 털 빠짐 (0) | 2023.02.10 |
푸들의 이름의 유래, 특징, 질병과 수명, 털 빠짐 (0) | 2023.02.09 |
시베리아허스키의 특징과 질병 (0) | 2023.02.08 |
댓글